반응형
회계원리를 공부하던 중에 현금주의와 발생주의라는 개념을 배웠다. 두 개념은 회계상 거래에 대한 인식에 관한 것인데, 회계상의 거래를 인식할 때 해당 거래를 바로 반영할 것인지, 나중에 반영할 것인지에 따라 현금주의 인식법과 발생주의 인식법으로 나뉘게 된다. 함께 알아보자.
1. 현금주의란?
현금주의란 영어로 cash basis accounting이라고 하며 현금의 증감이 있을 때 장부에 기록하는 방법이다. 현금주의는 개인회계에 적절하다. 현금주의에는 매출채권 등이 적용되지 않으며, 현금을 받는 순간 기록하게 된다.
2. 발생주의란?
발생주의란 영어로 accrual basis accounting이며, 현금의 수수 여부와 관계없이 회계상의 거래가 발생된 시점에 해당 거래를 인식하는 개념이다. 기업회계에서는 발생주의 개념을 적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매출의 발생 시기를 기록해 성과를 기록하는 개념이다. 이는 기업 회계의 목적이 경영자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기 대문에 기업회계에 적절한 방법이다.
- 발생
- 경제적 거래, 혹은 사건이 현재 발생하였으나 현금의 유출 또는 유입이 없는 경우에 수익 또는 비용을 현재 상태에 인식하며 자산과 부채를 함께 인식하는 것이다.
- 이연
- 현금의 유출 혹은 유입이 있으나 동시에 관련 부채와 자산을 인식하는 것이다.
3. 발생주의 계정과목
현금 수령/지급 시기 | 후불 | 선불 |
수익 발생 거래 | 미수수익(자산) | 선수수익(부채) |
비용 발생 거래 | 미지급비용(부채) | 선급비용(자산) |
수익 발생 거래 시 후 지급시지급 시 미수수익(자산)이며, 미리 지불 시 선수수익(부채)라고 한다. 비용 발생 거래 시 후 지급 시 미지급비용(부채)라고 하며 미리 지불 시 선급비용(자산)이라고 한다.
반응형
'생활상식, 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도 침체(Godot Recession) 뜻을 알아보자 (0) | 2023.03.16 |
---|---|
리퀴드 소비(Liquid Consumption) 뜻은 무엇일까? (0) | 2023.03.16 |
차변과 대변은 무엇일까? (0) | 2023.03.15 |
매출채권과 미수금, 차이는 무엇일까? (0) | 2023.03.14 |
댓글